산사태
산사태는 비탈 지대의 돌과 흙, 그리고 여러 잔해들이 아래쪽으로 무너져 내리는 현상으로,
장마 때가 되면 집중 호우와 함께 빈번히 발생합니다. 이로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합니다.
산사태 경보 발생 시 이렇게 행동합니다.
-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
-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 안전을 위해 사전에 대피 주민대피명령이 발령 될 경우 대피장소 또는 안전지대로 반드시 대피
- 대피시 화재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·전기 차단 혹시 대피하지 않은 주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
위험상황을 알림
- 대피 후 기상 등 위험 상황의 추이를 확인
- 일반국민은
- KBS뉴스(자막방송), 산사태정보시스템(sansatai.forest.go.kr)을 통해 산사태 경보 발령지역을 확인하고 지역내에
위치할 경우 안전에 유의
- 산림주변의 야외 활동을 하지 않음
- 산림내에 있을 경우 계곡부에서 벗어나 높은 곳으로 피신
- 산사태 발생상황을 확인한 경우 즉시 신고
- 인명피해가 우려될 경우 119 또는 042-481-4119(산림항공구조대)로 구조 요청
산사태 주의보 발생시 이렇게 행동합니다.
-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
-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 대피를 준비
- 대피장소를 사전에 숙지하고 간단한 생필품 등 사전 준비/li>
-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는 것을 삼가고, 유선연락이 가능한 곳에서 상황 예의주시
- 경사면에서 물이 솟는 등 산사태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대피하고 산림청 또는 시·군·구에 신고
- 기상상황 및 행정기관 연락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
- 위험 상황에 대한 SMS 및 방송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
- 일반국민은
-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곳에 가까이 가지 않음 산사태 징후에 대해 사전에 숙지
- 등산객 또는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
- 텔레비젼, 인터넷, 라디오를 통해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관계행정기관의 안내 숙지
산사태 미발생시 이렇게 대비합니다.
-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
- 산사태취약지역 및 주민대피장소를 사전에 확인
- 산사태 단계별 국민행동요령을 사전에 숙지
- 집 주변 산림 및 배수로 등을 점검·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