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폐소생술
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 입니다.
성인 심정지환자의 심폐소생술
- 1. 심정지 확인(반응확인)
-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“괜찮으세요?”라고 여쭤보세요.
- 2. 119신고 및 자동제세동기 요청
- 주변 사람에게 큰소리로 119에 전화해 달라고 부탁하고 자동제세동기 요청,
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직접 119에 신고합시다.
- 3. 가슴압박 30회 시행
- 손꿈치 중앙을 양쪽 젖꼭지 사이의 흉부의 정중앙에 놓고 손가락이 늑골이 닿치 않도록 합시다.
- 다른 손으로 나머지 손을 덮어주세요.
- 팔을 쭉 펴고 수직으로 최소 5cm 깊이로 환자 가슴을 눌러 준 다음 힘을 뺍니다.
- 분당 최소 100회의 속도로 30회 흉부를 압박합시다. 흉부압박 때 환자 가슴에서 양손을 떼지 맙시다.
※ ‘하나, 둘, 셋’, ---, ‘서른’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며,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함.
- 4. 인공호흡 2회 시행
-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위로 들어 올려 기도를 열어 주세요.(기도개방)
- 환자의 코를 막고 입속으로 두 번 불어주세요. 이때, 환자 가슴이 올라와야 기도로 호흡이 들어간 것입니다.
※ 구조자가 인공호흡을 모르거나 능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, 지속적으로
가슴압박만을 시행(가슴압박 소생술)
- 5.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
-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세요.
- 구조자가 두사람인 경우에는 30:2로 1인은 흉부압박을 하고 다른 1인은 인공호흡을 합니다.
5주기마다(매 2분마다) 교대하여 실시합니다.
※ 흉부압박시 중단 시간이 10초 미만이 되도록 함.
심폐소생술 알아보기
-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입니다.
- 심장과 폐의 정지현상은 급성심부전 및 폐부전증 등에 의하여 생기므로 그 원인을 분석해서 처치에 적용해야 합니다.
- 심부전증의 원인으로는 심근수축력 억제, 흥분, 관상동맥혈류량 부족 등이 있습니다.
- 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,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됩니다.
시간에 따른 환자의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0~4분 : 소생술을 실시하면 뇌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.
- 4~6분 : 뇌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6~10분 : 뇌 손상이 확실합니다.
- 10분 이상 :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됩니다.
- 그러나 회복 불가능한 질환을 가진 사람이나 오랫동안 심장이 멈추어 살아날 가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.
- 단, 예를 들어 물에 빠져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사람이나 어린 아이는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더라도 뇌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
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시행해야 합니다.